Over-communication
·
Review
1. 사람은 정보의 공백을 추측(guessing)으로 채운다.그리고 이러한 정보의 불균형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불안감으로 오염되기 십상이다. 엊그제 지인이 얘기해주길, 본인의 친구(나와는 안면도 없는 사람)가 날 처음에 굉장히 공격적인 사람으로 오해했다고 한다.3일 밤을 새고 공부를 하느라 잠이 쏟아지던 날, 잠을 깨기 위해 내 뺨을 여러 번 때렸었는데 이걸 목격했던 것이었다.다행히 지인이 "저 사람은 본인한테만 그렇고 남들한텐 안 그렇다"고 해명해줘서 오해는 풀렸지만, 다른 사람에게 내 행동이 그렇게 비춰질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문득 내 단점이 뭘까 고민하다가 갑자기 이 일이 떠올랐다.그리고 자연스레 지난 협업 과정들에서 겪었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이 스멀스멀 떠오르기 시작했다. 2.대학교 3,..
기술 블로그 포스팅을 작성하는 전략적 노하우
·
Review
💡 이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블로그 포스팅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본인의 성향, 목적, 공부 방법에 따라 천차만별로 나뉩니다.다만, 아직 어떻게 글을 구조적으로 작성하고, 포스팅을 활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분들을 위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참고로 고려한 독자층은 학생입니다.)제가 작성한 포스트를 읽어 보시고, 이러한 구성이 마음에 드신다면 따라해보시길 권장드리며,아이디어를 참고해서 독자적인 전략을 구상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1. Introduction 📌 The reason why I am writing this post최근 들어, 블로그를 시작하는 지인이 많아졌다.그와 동시에, 포스팅을 대체 어떻게 적어야 하는 지 물어보는 사람도 많아졌다. 나는 오랜 시행..
[PM 회고록] PM과 개발자 사이: 학부생 프로젝트에서 마주친 위기와 성장의 기록 (with Agile)
·
Review
📕 목차1. Introduction2. Communication3. Motivation4. Architecture Assessment5. Conclusion1. Introduction 📌 Motive올 한 해, 학부생 프로젝트의 PM(이자 백엔드이자, 이것저것 개발자인..)을 맡으면서, 프로젝트 시작 전에 소프트웨어 공학 시간에 배운 애자일 방법론을 적용하자고 팀원들을 설득했었다.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기 위해, 애자일에 대해 정말 많은 공부를 하고 관련 글들을 참조했고, 심지어 교수님과 현직 개발자 분들께 자문을 구하기도 했다.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그 중에서 가장 굵직한 스토리에 대해서는 한 명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꼭 적어놓고 싶었다. (미리 이야기하지만, 수치..
개발 공부하다가 방황하는 사람들을 위해 써보는 글 (feat. EDD/RDD)
·
Review
시험 기간이라 공부하는데 더 이상 학점이 필요 없다보니 집중이 너무 안 돼서잠시 기분 좀 환기할 겸 써보는 가벼운 글입니다.개인적인 주관이 가득하게 들어간 글이지만, 이런 글이라도 필요하신 절박한 분들을 위해 작성합니다. 📕 목차1. EDD/RDD2. 목표를 잡아라3. 계획을 세워라4. 실천에 옮겨라1. EDD/RDD 📌 개요최근들어 뭘 공부해야 할 지 도저히 모르겠다고 찾아오는 사람이 많았다.학부생들이야 그렇다 쳐도 현직자 분들은 대체 왜 저 같은 거한테....🙄이 글은 절대 내가 잘나서거나, 뭐 대단한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라는 점. 그저 계획을 세우는 방법을 공유하려는 것 뿐이다. 예전에는 그런 사람들에게 혼자서 블로그를 만드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해보라고 권유했었다.UI는 그냥 저작권 없는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