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de Project

[Side Project] 1. 새로운 MSA 도전 프로젝트 계획

나죽못고나강뿐 2024. 10. 15. 13:44

이제 곧 취업을 해야 할 때가 다가오는데, 마지막으로 뭘 만들면 좋을까.

그렇게 한참을 고민하다가, MSA 기반의 서버를 한 번이라도 혼자서 만들어보고 싶었다.

 

거기에 Java + Spring Boot 조합도 질릴 대로 질려서, 새로운 기술을 왕창 다뤄보고 싶은 욕구가 샘솟아서,

그냥 나 자신을 시험해보기 위해, 어디까지 할 수 있는 지 극한까지 굴려보고자 시작한 프로젝트.

 

어떻게 MSA를 설계하면 좋을까 여기저기 뒤적거리면서 대략적인 설계안을 구상해보았다.

 

실화냐?

여기저기서 급하게 키워드들 주워서 그린 설계라, 당연히 오류가 넘칠 거라는 걸 알고 있다.

그래도 뭘 공부해야 할 지, 어디서부터 어떻게 수정해야 할 지 감을 잡기 위해서 설계를 먼저 해보는 건 좋은 습관이라고 생각한다. (분산 코디네이션이 당췌 어디 연결되어야 하는 건지 몰라서, 대충 붙여놓는 등 별 회계망측한 짓을 다 해놨다.)

 

일단 사용되는 기술만 해도 익숙한 Ngnix, Spring Boot, MySQL, Redis, Docker를 제외하고도,

Spring Cloud, Eureka, Zipkin, ELK, Apache Zookeeper, node.js, Fast API, PostgreSQL, Kubernetes, Resilience4j 등등 (아마 추가되거나, 바뀌는 것들이 더 있을 수 있다.)

그 와중에 Java 너무 구려서, Kotlin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내가 봐도 말도 안 되는 기술 스펙이지만, 뭐...난 어떻게든 해내지 않을까???? 라는 생각.

 

어차피 개인 작업이기도 하고, 빡빡한 데드라인 같은 것도 없어서 오버 스펙이니 뭐니 하는 것도 고려하지 않았다.

다만, 문제가 될 수 있는 점은 Cloud Service를 사용하면서, 저 정도의 인프라를 구축하려면 만만치 않은 비용이 발생한다.

 

그래서 서버는 집에 굴러다니던 맥북을 사용하기로 했다. (ㅋㅋㅋㅋㅋㅋㅋ)

 

취업하고 나서도 재미삼아 계속 공부해보게 될 주제들인 거 같은데, 이제 달려봅시다.